


※ 마을 클릭 시 해당 설명으로 이동합니다. ※
서원국 曙原國
서원국은 총 5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라고 표현해야 맞으나 주민들 사이에서는 ‘마을’의 개념이 더 강해 그 규모가 작지 않음에도 마을이라 구분하고 있다.
서원국은 중앙의 도원을 중심으로 4개의 마을이 감싸듯 위치해 있으며 각 마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청하 淸河
서원국 동쪽에 위치한 항구 마을이다. 마을의 동쪽 한 면이 바다와 인접해 있으며, 해선국을 포함한 해상을 통한 무역 활동이 활발하다. 그 탓으로 난민 유입이 많아 청하에는 해선국과의 혼혈인 주민이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무제로 넘어가면서 난민 유입은 중단된 상태다.
안타깝게도 해선국과의 혼혈아는 주술을 배우기 어려워 해선국 혼혈 도사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해선국 영향으로 외국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이 많다. 그 실력은 모두가 뛰어나진 않고 적당히 눈치로 알아듣는 경우가 허다하지만 다른 마을의 경우는 전혀 못 알아들으니 청하 마을에서는 통역을 주 직업으로 삼는 사람들이 많다.
청룡을 수호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청하 출신의 도사들에게 주술을 배우는 이는 모두 청룡의 주술을 사용한다.
대표 특산물
각종 해산물이 청하를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도사들의 영향으로 그 품질은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뛰어나다. 해산물의 종류는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많은 편이다.
난민이 지내는 마을
보통 해선국의 난민들은 청하에서 거주한다. 해선국과 가장 비슷한 기후를 가지기도 했고, 청하만큼 해선국과 같은 외국인 유입이 많은 마을이 없기 때문. 다른 마을의 기후가 극명하게 바뀌는 것도 한몫한다.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별궁
해상 거래가 자주 이루어지는 곳이라 도원을 제외하고 금전 유통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선제가 집권했을 당시에는 청하에 머물러 직접 무역에 관여하는 경우도 있어서 별궁이 존재한다.


금호 金虎
서원국 서쪽에 위치한 마을로, 바람이 선선하고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큰 곳이다. 산맥을 등지고 있어 산맥의 광산에서 광물들을 캐오기도 하는 모양이다. 서원국 중에서는 가장 부유한 층의 사람들이 머물고 있으며, 이들 모두 재정 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다.
간혹 마방국과 관련한 유목민이 현 마을이 아닌 산맥을 통해 내려오기도 하는 모양이나, 산맥이 워낙 험해 그 수는 매우 적다. 오죽하면 서원에서도 인접해 있는 화남과 현 마을만 교류하고 있으며, 청하 마을 사람하고는 겨우 도원에서 만나 교류를 하고 있다.
백호를 수호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금호 출신의 도사들에게 주술을 배우는 이는 모두 백호의 주술을 사용한다. 백호의 도사들은 대부분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호쾌한 편이다.
대표 특산물
금호는 바로 인근 광산에서 여러 광물이 채취되고 있으며, 금호에서는 이 채취한 광물을 바로 장신구로 가공해서 지역 특산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질이 좋고 공방 장인들도 많다 보니 금호로 장신구를 사러 오는 사람들이 많다.
부자들의 마을
금호는 다른 마을에 비해 꽤 살기 좋은 마을로 유명하다. 바로 뒤에 마을의 생계를 책임지는 광산이 위치하고 그 산맥이 험해 다른 마을의 침입은 걱정할 필요도 없다. 현 또는 화남 마을처럼 날씨가 극단적이지도 않고 선선한 기후를 유지하니 마을의 가치가 상승한 것은 당연한 일. 일반적인 서민들이 전혀 살기 어려울 정도로 땅값이 비싼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배가 굶주린 이들은 다른 마을에 비해 드물다.



화남 華南
서원국 남쪽에 위치하며 기후가 전반적으로 덥다. 화남의 아래로는 사막 지대인 석화국이 위치해 있고, 석화국과 문화가 거의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청룡 도사들이 가뭄을 해결하기 위해 화남으로 와서 기우제를 열어주는 일이 잦은 편이다.
도원을 포함하여 다른 마을로 가는 길목이 높은 산으로 자주 막혀 있어서 오랜 시간 힘을 들여 길을 낸 곳을 제외하고는 다른 마을로 가는 것이 어렵다. 그나마 선제가 집권할 당시에는 월운문을 통하여 다른 마을하고의 교류가 있었지만, 현재는 그마저도 뚝 끊긴 상황이다.
주작을 수호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화남 출신의 도사들에게 주술을 배우는 이는 모두 주작의 주술을 사용한다.
대표 특산물
솜의 원재료인 목화가 가장 많이 생산되는 도시이다. 자연적으로 생산되기도 하지만 주작과 청룡의 주술로 인공적으로 목화를 생산해 내는 것도 있는 듯하다.
화남의 사람들
햇빛이 강한 탓에 선천적으로 피부 색소가 짙은 사람들이 많다. 석화국처럼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베일이나 터번을 두르는 사람도 있으며 더위에 강한 이가 많다. 또한, 수호신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활달한 사람들이 유독 많으며, 특히 애국심이 투철해 단순한 도사로서의 활동이 아닌 황실에서 일하는 이들이 다수 있다.
현 玄
서원국 북쪽에 위치하며 설요국과 같이 1년의 절반은 눈이 내리는 곳이다. 눈이 내리지 않는 날의 반은 비가 오며, 그렇지 않은 날은 그제야 맑은 하늘을 볼 수 있다. 그마저도 구름이 끼어있거나 해서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날을 보기는 정말 어렵다. 기후 자체가 워낙 추운 곳이다 보니 현의 사람들은 대부분 추위에 강하고 더위에 약하다.
현무를 수호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현 출신의 도사들에게 주술을 배우는 이는 모두 현무의 주술을 사용한다.
대표 특산물
현에서는 주로 얼음을 다른 마을에 유통하거나 다른 나라에 수출하고 있다. 주술로 흙의 온도 자체를 낮춰 내리는 눈이 녹지 않도록 하는 모양이다. 유통하는 과정과 수출하는 과정에는 기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청룡과 현무 도사가 늘 함께하고 있다.
현의 사람들
현의 사람들은 대부분 검은 눈과 검은 머리를 하고 있다. 이는 인접해 있는 설요국과 기후가 비슷한 탓이나 서원국이 세워지기 전의 부족이 반으로 갈려 현 마을과 설요국에 나누어졌다는 설이 있다.
현 마을에서 자라는 나무가 높고 울창한 탓에 햇빛이 잘 닿지 않는 마을로도 유명하며, 그 영향으로 피부 색소가 옅은 이들이 많다. 또한 눈이 오는 경관을 자랑으로 삼는 곳이라 관광오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난방이 잘되는 마을은 아니라서 오래 머무는 사람들은 드문 편이다.
도원 挑源
서원국의 중심이자 수도, 본래의 서원 부족들이 가장 많이 밀집된 곳이다. 황제가 머물고 있으며 금호를 제외한 다른 마을에 비해 대부분의 사람이 부유하게 지내고 있다. 물론, 흉년이 들기 시작한 이후로는 다들 조금씩 어려워지는 모양이지만.
여러 마을이 인접해 있다 보니 복식, 음식 모든 문화가 섞여 있어서 때로는 복잡하고 번잡하다는 느낌을 줄 때도 있다. 그러나 궁이 있는 중심으로 가까이 가면 수도 특유의 단정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각 마을의 특성이 극명하게 갈리다 보니, 중심점인 도원을 통해 거래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탓으로 상거래가 가장 많이 발달해 있다. 해외 무역은 청하에서, 국내 거래는 도원에서 이루어진다.
▶ 도원에 대하여 (클릭 시 이동)